티스토리 뷰

■ 『후한서』, 『삼국지』,『진서』 의 부여가 비류백제이고, 『주서』,『북사』의 백제시조 구태가 부여의 (위)구태다

  
1) 『삼국사기 백제본기』 이설인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 【우태를 주몽의 다른 이름인 아명으로 본다】
 
     주몽은 우발수(優渤水)에서 잉태하여 태어난 별같은 존재(우태優台)로, (동)부여왕 해부루의 서손이니
     우태의 설명과 주몽의 설명이 같기(비슷하기) 때문에 우태가 곧 주몽이다

2) 『주서』와 『북사』의 백제 시조 구태가 『후한서』와 『삼국지』 부여의 (위)구태
     따라서 『후한서』와 『삼국지』 부여가 비류백제

 
     (1) 『삼국지의 부여』 에서
           (위) 구태가 동명의 후손이고, 공손도가 딸을 (위)구태에게 시집보냈다고 했고 

     (2) 북사의 백제에서
            동명의 후손인 구태가 대방의 옛땅에 나라를 세웠고,
공손도가 딸을 구태에게 시집보냈다고 했으니

            

          부여의 (위)구태와 백제의 구태는 동일인이니 부여가 곧 비류백제다

  

      ※주) 비류백제인 부여 내용은 AD 49년을 시작으로 『후한서』, 『삼국지』, 『진서』에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 AD 49년에 부여가 한나라에 공물을 보냈다    -. AD 111년에 부여왕이 낙랑군을 공격했다

             -. AD 120년에 부여가 태자 (위)구태를 통해 한나라에 공물을 보냈다
             -. AD 136년에 부여왕(위구태)이 한나라에 와서 조회했다

             -. AD 161년에 부여가 한나라에 공물을 보냈다   -. AD 167년에 부여왕 부태가 현도군을 공격했다

             -. AD  174년에 부여가 한나라에 공물을 보냈다

             -. 한나라 말(189 ~ 204)에 공손도가 일족의 딸을 부여왕  (위)구태에게 시집보냈다

             -. AD 240~248 관구검이 고구려를 공격할 때 부여왕 위거가 관구검에게 군량을 지원했다

             -. AD 285년 모용외의 공격에 부여가 패하고 의려왕이 자살했고,  왕자들은 동옥저를 피신했다

             -. AD 286년 의라왕이 부여를 재건하여 나라를 회복시켰다 
 
3) 『후한서와 진서 동이열전』에서 부여인 비류백제 나라 가운데에 옛 예성이 있는데 예맥의 성이라 했으니
     비류백제의 위치는 하북성 창주시다

 

      ※주) 후한서 동이열전에서
                 예(동예=예맥)의 임금(예군, 濊君) 남여가 항복하여 한무제가 창해군을 설치했다고 했는데

                사마천사기 평준서에 창해군을 설치하니 연제지간(연나라와 제나라 사이)가 소란해 졌다고 했으니

                  연제지간에 창해군을 설치한 것이니, 예=동예=예맥의 위치는 하북성 중동부인 지금의 창주시 지역이다

  
4) 『진서』의 의려왕은 우씨고 백제 고이왕도 우씨로 같고, 사망년도가 AD AD 286년으로 같기에
     『진서』의 부여 의려왕이 백제 고이왕이다
 
5) 『진서』의 의려왕 아들인 의라왕은
     비류왕 시기인 AD 327년에 반란을 일으킨 내신좌평 우복(우태의 우씨)으로 추정된다

    (서진은 316년에 멸망했지만 의라왕이 사망했다는 기사가 없기에...

     진서 동이열전에 따르면 서진 멸망 후에도 의라왕은 부여인 비류백제의 왕이었다)

 

     ※주) 327년 백제 비류왕의 공격을 받은 비류백제 의라왕(내신좌평 우복)은 해양세력을 거느리고,

             하북성 창주시에서 서해를 건너 살기 좋은 전라도 나주지역으로 이동하였고,

             일본열도까지 진출한 것으로 보인다  

  
 
■ 비류백제의 이동(하북성 창주시 → 영산강 지역  일본열도)
 
1) 『진서 동이열전』 의라왕 기록을 마지막으로 비류백제인 부여가 중국 정사에서 사라진다
-. 비류백제인 부여가 멸망했다는 내용은 삼국사기나 중국 정사에 나오지 않는다
-. 의라왕이 죽었다는 내용도 없고 일본에는 의라왕을 기리는 의라신사가 있다

 

     (327년 백제 비류왕의 공격을 받은 비류백제 의라왕(우복)은 해양세력을 거느리고,

      하북성 창주시에서 서해를 건너 살기 좋은 전라도 나주지역으로 이동하였고,

      일본열도까지 진출한 것으로 보인다)  


2) 비류백제의 고고학적 물질문화
    AD 327년에 의라왕(우복)이
    백제 비류왕의 공격을 피해 하북성 창주시에서 영산강 지역으로 이동했는데...
 
    4세기 중반부터 영산강 유역에 분구묘의 대형화, 대형 옹관 등장, 백제와 다른 금동관과 금동신발 출토등
    비류백제 이동과 정착을 추론할 수 있는 고고학적 물질문화 변화가 영산강 지역에 나타난다
 
3) 무령왕 시대인 AD 501년에
     비류백제 우태의 우씨인 달솔 우영(優永)이 뜬금없이 삼국사기에 등장한다
 
 
--------------------------------------------------
위의 내용을 종합하고 삼국사기와 중국 정사 내용을 연결해서 정리하면
---------------------------------------------------
1) 개로왕은 부여의 여씨
2) 문주왕과 동성왕은 모용의 모씨(삼근왕도 모씨로 추정)
3) 무령왕 이후부터는 부여인 비류백제 우태의 우씨로 추정
 
그래서 부여인 비류백제의 후손인 성왕이 백제 국호를 남부여로 바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주서부터는 백제 시조가 우태로 등장하니, 무령왕 부터 북주시대에도 비류백제의 우씨가 백제왕이 된 것이다
 
 
--------------------------------
최종 정리해 보면...
--------------------------------
AD 327년 비류왕의 공격으로 하북성 창주시에 있던 의라왕(우복)이
신천지인 영산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하고, 일본열도까지 진출하게 된다
 
1)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부여씨인 개로왕이 사망하자
2) 개로왕을 보좌하던 모용씨의 문주가 백제왕이 되었는데..
3) 모용씨의 동성왕을 암살하고 일본열도를 다스리던 우태의 우씨 무령왕이 백제왕으로 등극하여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비류백제의 후손인 우태의 우씨가 백제를 다스리게 된 것이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