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위만조선 ( 낙랑군 )이 대동강 평양이라는 주장은 사이비 역사

 

■ BC 91년에 편찬된 사마천 사기 조선열전에는

     패수 서쪽은 한나라 요동군, 패수 동쪽은 위만조선(낙랑군)이다

     (위만조선 서쪽에 한나라 요동군이 있다)

 

1)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은

     진시황의 진나라 요동군동외요(순찰하는 지역)로 나누어 졌다

 

☞ 사마천사기 조선열전

   진시황의 진나라가 전국시대 연나라를 멸한 뒤에는 (위만조선 땅은) 요동외요에 속하였다.

   [원문] 自始全燕時, 嘗略屬眞番朝鮮, 爲置吏, 築鄣塞. 秦滅燕, 屬遼東外徼.

 

2)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은

    패수를 기준으로 패수 서쪽은 한나라 요동군,
    패수 동쪽은 진고공지(진나라의 옛 공지) = 상하장이다 

 

☞ 사마천사기 조선열전

      한나라가 일어나자 패수까지를 연나라 (한나라 요동군)에 속하게 하였다

      위만이 (요동군에서) 동쪽으로 달아나, 패수를 건너 진고공지=상하장에 살았다

     [원문] 漢興, 爲其遠難守, 復修遼東故塞, 至浿水爲界, 屬燕.

                滿 東走出塞, 渡浿水, 居秦故空地 上下鄣.

 

3)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 지역인

     패수동쪽의  진고공지=상하장에 위만조선이 있었고, 왕험성이 있었다

  

☞ 사마천사기 조선열전

     위만이 진고공지=상하장거주하면서 망명자들의 왕이 되어 왕험에 도읍했다

     [원문] 滿 秦故空地 上下鄣, 稍役屬眞番·朝鮮蠻夷及故燕·齊亡命者王之, 都王.

 

삼국지 위서동이전과 후한서 동이열전의

     진고공지=상하장에 있었던 위만조선( 낙랑군) 주변의 군국들(나라들)

 

1)  현도군 요동군 북쪽 2백리 거리에 있다

☞ 삼국지 오서 손권열전

    [오서에 이르기를] 현도군은 요동군 북쪽에 있는데, 서로 2백리 떨어져 있다.

    [원문]  吳書曰: 玄菟郡在遼東北, 相去二百里.

  

2) 마한위만조선(= 낙랑군 남쪽의 대방군) 남쪽에 있다.

☞ 삼국지 동이열전 한(삼한)

    한(삼한)은 대방(낙랑의 남부)의 남쪽에 있는데, 한(삼한)의 면적은 사방 4천리다

    [원문] 在帶方之南,  方可四千里.

 

3) 예=동예 위만조선(낙랑군) 동쪽에 있다 

☞ 삼국지 동이열전 예=동예

    예=동예는 동쪽으로 대해에 닿았으니,
    지금의 (위만)조선 동쪽은 모두 그(예=동예) 지역이다

    [원문] 東窮大海, 今朝鮮之東 皆其地也.

  

4) 예=동예의 북서쪽에 사방 2천리 고구려가 있고

    예=동예의 북동쪽에 1천리 (동)옥저가 있다

☞ 삼국지 동이열전

     예=동예 : 예=동예의 북쪽에는 고구려와 (동)옥저가 붙어 있고, 동쪽은 대해에 닿았다.

     [원문] 與高句麗·沃沮接, 東窮大海. 

     고구려 : 고구려의 남쪽은 (위만)조선과 예맥(=예=동예)이 붙어 있고

                  동쪽은 (동)옥저에 붙어 있는데, 면적은 사방 2천리다

     [원문] 高句麗 東與沃沮, 方可二千里. 

     동옥저 :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의 동쪽에 있는데, 큰 바닷가에 접해 산다.
                  그 지형은 동북간은 좁고, 서남간은 길어서 천리 정도나 된다.

                  동옥저의 남쪽은 예맥(=예=동예)에 붙어 있다.

     [원문] 東沃沮 在高句麗 蓋馬大山之東,  濱大海而居. 其地形東北狹, 西南長, 可千里.

               南與濊貊接.

 

5) 예=동예의 남쪽에 진한이 있다

☞ 삼국지 동이열전

     예=동예 : 예=동예의 남쪽에는 진한이 있다

     [원문] 與辰韓.

 

■ 위만조선 (낙랑군)이 대동강 평양이라는 주장은 사이비 역사

 

1) 위만조선(낙랑군)이 대동강 평양 지역이라면

     위만조선 서쪽의 요동군 서해 바다가 되고, 요동군 북쪽의 현도군도 서해 바다가 되기에

     위만조선(낙랑군) 위치는 대동강 평양 지역이 될 수 없다

2) 위만조선(낙랑군)이 대동강 평양 지역이라면
    연제지간(연나라와 제나라 사이)에 있었던 예=동예의 위치가 한반도 강릉지역이 되기에

    위만조선(낙랑군) 위치는 대동강 평양 지역이 될 수 없다
     (
사마천사기 평준서와 한서 식화지에 예=동예의 임금남여가 항복해서
       한무제가 창해군을 설치한 지역은 연제지간:연나라와 제나라 사이다

      彭吳賈滅朝鮮, 置滄海之郡, 則燕齊之閒靡然發動.)

 3)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공격할때 한나라 수군이 사용한 배가 누선인데, 

     한나라 수군의 누선은 남월을 정복할 때 양자강을 다니던 배

     누선은 강이나 연안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배

     따라서

     누선은 발해만을 건너서 서해바다를 건서서 대동강 평양까지 갈 수 있는 배가 아니니

     위만조선(낙랑군) 위치는 대동강 평양 지역이 될 수 없다    

 

하북성 진황도시 지역이나 하북성 보정시 지역위만조선(낙랑군) 위치 검증

 

1) 위만조선(낙랑군)이 하북성 진황도시 지역라면

    위만조선 남쪽의 마한이 발해 바다가 되고, 위만조선 남동쪽의 진한도 발해 바다가 되기에

    위만조선(낙랑군) 위치는 하북성 진황도시 지역이 될 수 없다

 

2) 위만조선(낙랑군)이 하북성 보정시 지역이라면

    위만조선 서쪽의 요동군,요서군, 우북평군, 어양군 태행산맥 서쪽이 되기에

    위만조선(낙랑군) 위치는 하북성 보정시 지역이 될 수 없다

 

☞ 한서지리지 연나라 지역

    (태행산맥) 동쪽에 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이 있고,

    (태행산맥) 서쪽에 상곡, 대군, 안문이 있다

    [원문] 東有 漁陽 右北平 遼西 遼東, 西有 上谷 代郡 雁門.

 

■ 위만조선(낙랑군) 위치는 하북성 중부 형수시 무강현이다

 

1) 한나라 요동군은 하북성 형수시 안평현, 요서군은 석가장시 지역이다

2) 고구려는 호타하 북쪽인 하북성 중북부 지역에 있었다

3) 예=동예는 하북성 중동부 창주시 지역이다

4) (동)옥저는 진황도시 동쪽의 지금의 요서지역이다

5) 마한은 하북성 중남부와 산동성 태산 서쪽지역이다

6) 진한은  창주시 남쪽으로 산동성 산동반도 지역이다

 

■ 위만조선은 사방 1백리 정도의 작은 나라였다

 

1)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이 사방 3백리정도이니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을 나누어, 한나라 요동군(2백리)위만조선(1백리)이 되었다

 

   ※주) 후한서 군국지에 어양과 우북평, 요서와 요동, 상곡과 대군의 거리가 각각 3백리

    한나라 시대의 군의 크기사방 3백리 정도로 보인다

    (사방 1백리는 서울시 크기 이고, 사방 3백리는 충청북도 크기다)

 

2) 사마천사기 조선열전에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을 패수를 기준으로 나누어

      (1) 패수 서쪽한나라 요동군이고,

      (2) 패수 동쪽인 진고공지 상하장에 위만조선과 왕험성이 있었다

 

       ※주)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

                 = 진시황의 진나라 요동군 + 요동외요

                 = 한나라 요동군                + 진고공지(=상하장)

                 = 한나라 요동군                + 위만조선(낙랑군)

 

☞ 사마천사기 조선열전

    (1) 진시황의 진나라가 전국시대 연나라를 멸한 뒤에는 (위만조선 땅은) 요동외요에 속하였다.

         [원문] 自始全燕時, 嘗略屬眞番朝鮮, 爲置吏, 築鄣塞. 秦滅燕, 屬遼東外徼.

    (2) 한나라가 일어나자 패수까지를 연나라 (한나라 요동군)에 속하게 하였다

          위만이 (요동군에서) 동쪽으로 달아나, 패수를 건너 진고공지=상하장에 살았다

         [원문] 漢興, 爲其遠難守, 復修遼東故塞, 至浿水爲界, 屬燕.

                   滿 東走出塞, 渡浿水, 居秦故空地 上下鄣.

     (3) 위만이 진고공지=상하장에 거주하면서 망명자들의 왕이 되어 왕험에 도읍했다

         [원문] 滿 秦故空地 上下鄣, 稍役屬眞番·朝鮮蠻夷及故燕·齊亡命者王之, 都王.

 

3)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전에

    (1) 위만이 준왕에게 박사에 임명되어 (예맥)조선 서쪽 1백리를 봉지로 받았고

    준왕을 기망하여 준왕을 몰아냈으니 위만은 준왕이 차지한 예맥조선 영토를 차지 하지 못했으니

    위만조선 영토는 사방 1백리

 

    (2) 준왕의 예맥조선 영토는 예=동예=예맥의 임금 남여가 다스리다가

    BC 128년 한나라에 항복하여 한무제가 창해군을 설치했다가 BC 124년 창해군은 폐지되었으니

    위만은 준왕의 예맥조선 영토를 차지하지 못한 명백한 근거가 된다

    위만은 봉지로 받은 1백리 영토에 위만조선을 건국했으니 위만조선 영토는 사방 1백리

 

☞ 삼국지 위서동이전 한전

    [위략에 이르기를] 한나라 때에 이르러 (예맥)조선과 연燕은 패수를 경계로 하게 되었다.
    연나라 사람 위만이 망명하여, 동쪽으로 패수를 건너 (예맥조선의) 준왕에게 항복하였다.

    준왕이 위만을 박사에 임명하고, 1백리땅을 봉해주고 서쪽 변경을 지키게 하였다.

    위만이 준왕을 속여서, 준왕을 공격했으며 준왕은 위만과 싸웠으나 상대가 되지 못하였다.  

     [원문] 及漢 朝鮮與燕界 於浿水. 燕人衛滿亡命, 東度浿水 詣準降.

                拜 爲博士, 封之百里 令守西邊. 滿乃詐遣人告準, 遂還攻準, 準與滿戰 不敵也.

 

☞ 후한서 동이열전 한전 

  원삭 원년(BC128)에 예=동예=예맥의 임금 남여가 28만을 이끌고 항복하니

  한무제는 예=동예=예맥 지역에 창해군을 만들었으나, 수년 후에 곧 폐지하였다. 

  [원문] 元朔元年(BC128) 武帝年也 濊君南閭 率二十八萬口內屬,

             武帝以其地 爲蒼海郡 數年乃罷. 

     

■ 사마천사기 조선열전의 위만조선 영토가 수천리라는 내용은

     사마천의 춘추필법으로이다

 

1) 위만이 주변의 작은 마을을 침략하여 항복시키니 진번, 임둔이 복속했다고 했으니

    진번 임둔은 수십리 영토의 작은 나라로 봐야한다 

 

2) 위만조선의 영토가 수천리 되려면
    (1) 진번, 임둔이 1천리 이상의 큰 나라여야 하는데, 작은 마을들이 침략당하여 항복했다고

          1천리 이상의 큰나라인 진번과 임둔이 겁이나서 복속했다는 하는 것은 뻥이다

    (2) 작을 마을들이 위만에게 침략당하여 항복했으니

          수십리의 작은 나라인 진번과 임둔이 겁나서 위만에게 복속했을 것이니

          위만조선 영토는 대략 1백리로 정도로 봐야 한다.

 

☞ 사마천사기 조선열전

    이로써 위만은 그 땅의 군대의 위세와 재물을 얻어 부근의 작은 읍들을 침략하여 항복시키니

    진번과 임둔이 모두 와서 복속하여 그 영토가 사방 수천 리가 되었다.(사방 수천리는 뻥이다)

    [원문] 以故滿得兵威財物侵降其旁小邑, 真番, 臨屯皆來服屬, 方數千里.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