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등산 전투에서 구주산(안문군 음관현), 태원군(진양현), 대군의 한나라 당시 위치를 고찰할 수 있다. 고구려 모본왕 2년(AD 49년)에 고구려가 한(漢)나라의 어양(漁陽)·북평(北平)·상곡(上谷)·태원(太原) 을 공격했다고 삼국사기와 후한서에 기록되어 있다 한나라 시대 태원, 안문, 평성은 산서성 중남부 지역에 있었는데당나라 이후에 태원, 안문, 평성 위치를 북쪽으로 1천리 이동시켜 산서성 중북부 지역이 되었다1) 한나라 시대의 태원은 태원군으로 치소가 진양인데,한서지리지에 진양은 요임금의 당국(唐國)이니 진양의 위치는 도사유적이 있는 임분시이고,한나라 시대의 태원군(太原郡)은 임분시를 포함한 산서성 서남부 분하 서쪽 지역이다※주) 漢書地理志 : 太原郡, 秦置, 在晉陽(縣). 晉陽(縣) 故詩唐..

■ 사마천사기 에 기록된 호(胡)는 고조선이지 흉노가 아니다1) 전국시대 말에 3호(胡)가 있는데,① 오르도스 지역에는 임호(林胡=막조선)이 있었고② 산서성 태원시 서쪽 산악지역(여량시呂梁市 지역)에는 누번(樓煩)이 있었고③ 하북성 호타하 북쪽인 하북성 중북부에는 동호(東胡=북부여=진조선) 이 있었다※주) 전국시대 말의 번조선은 연나라와 진시황의 진나라 동쪽인 하북성 창주시에 있었던 예맥조선이다☞ 「사마천사기 흉노열전』진(晉)나라 문공때: 그리고 진(晉)나라 북쪽에는 임호(林胡), 누번(樓煩) 등의 융족이 있었다[원본] 而晉北有林胡, 樓煩之戎[출처] 110-2/15[史記列傳(사기열전)] 권110.匈奴列傳(흉노열전) (2/15)※주) 춘추시대 진(晉)나라 영토는 하서지역(섬서성 동부)과 하동지역(산서..

■ 유주와 탁군에 대한 오해1) 유주(후한서 군국지)는 탁군, 광양군, 대군,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 현도군, 낙랑군,요동속국이다(한서 지리지에 발해군은 유주다)2) 하북성 중부 호타하 남쪽에 있었던 유주와 전국시대 연나라(광양군 계현) 위치를하북성 북부와 북경 지역으로 잘못 알고 있으니,중국에게 동북공정을 당하고도 학술적으로 반론하지 못하는 것이다 3) 『한서지리지』에한나라 유주 탁군의 하천이 하수(한나라 시대의 황하)로 들어가니탁군의 위치는 보정시가 될 수 없고, 탁군의 위치는 하북성 남부 형태시 부근으로 봐야 한다 『한서지리지』에서① 역수가 범양현에서 래수로 들어가고. 원수가 랑향현에서 도수로 들어간다② 래수는 탁현에서 도수로 들어가고, 안차현에서 하수(황하)로 들어간다따라서..

■ 고대 요수와 요동의 오해 1) 고대 요동의 오해(1) 한서지리지에 따르면 요수 동쪽은 고대 요동인 한나라 요동군이 아니라 현도군이다『한서지리지 현도군 고구려현』에 고구려현에서 요수가 서남쪽으로 흘러 요동군 요대현 이른다고 기록되어 있으니요수 동쪽은 한나라 현도군이다. ☞ 『한서지리지 현도군 고구려현』고구려현의 요산에서 요수가 발원해서 서남쪽으로 요동군 요대현에 이르러 대요수로 들어간다.[원문] 髙句驪 遼山, 遼水所出, 西南至遼隊, 入大遼水. 又有南蘇水, 西北經塞外. (2) 요수 동쪽에 고대 요동이 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요수를 기준으로 요동과 요서를 나누었다는 주장은서기 700년 경의 당나라 학자 장수절이 사기정의에서 주장한 내용으로요동을 요수의 동쪽으로 풀이한 것이기에 사실이 아니다. ☞ 『사마..

■ 갈석산에서 시작된 만리장성의 오해 태강지리지를 인용한 갈석산에서 시작된 장성은진시황의 만리장성이 아니라 서진의 당빈이 수리한 서진장성 이다서진장성은 옛날 장성을 수리했는데 온성(하남성 온현)에서 갈석산까지다※주) 태강(太康)은 중국 서진의 연호이자 3번째 연호. 사마염의 재위기인 280년부터 289년까지 사용했다 지금의 만리장성에 대해..① 지금의 하북성 북부지역의 장성인 산해관에서 시작된 만리장성은 명나라 서달 장군이 쌓은 명나라 장성이고② 대동시 지역의 장성은 북제가 쌓은 북제장성이고,③ 음산산맥의 장성은 유연의 침입을 막기위한 북위장성이고,④ 섬서성 북쪽의 장성은 동돌궐 침입을 막기 위해 수양제가 쌓은 수나라 장성이다1) 『晉書 卷42 列傳 第十二 唐彬(AD 235-294)』 : 復秦長城塞, ..

※주) ① 동예의 위치가 연제지간(燕齊之間)이란 연나라와 제나라 사이에 있다는 의미이니연나라 도성(서울)과 제나라 도성(서울) 중간 지역이라는 의미다② 동예(東濊)는 후한서 동이열전과 삼국지 위서동이전의 예(濊)인데우리나라 대학교수들이 동예(東濊, 동이족의 예)라고 했다 ■ 동예(東濊)인 예(濊,薉)의 위치는 강원도 강릉지역(강원도 북부 ~ 함경도 남부지역)이 아니라제나라와 연나라 사이인 연제지간(燕齊之間)이다(사마천 사기 평준서와 한서 식화지 내용)1) 후한서 동이열전에 따르면 예(濊)의 임금 남여가 항복해서 창해군(蒼海郡)을 설치했는데 수년후에 폐지했다고 한다 2) 한서 무제기에도 동이예(東夷薉=동예)의 임금 남여가 항복해서 창해군을 설치했다고 한다 3) 사마천 사기 평준서와 한서 식화지에 따르면동예..

유방의 한나라 제후국인 연나라 사람 위만 이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 상하장 (요동외요, 진고공지, 상하장)에 세운위만 조선은 영토는 1백리 정도였고 조선이라는 명칭을 도용한 짝퉁 고조선이다 ■ 위만조선은 짝퉁 고조선이다 유방의 한나라 제후국인 연나라 사람 위만이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 상하장(진고공지, 요동외요)에 세운 위만조선이기에 짝퉁 고조선이다 ※주) 전국시대 연나라 요동군 = 진시황의 진나라 요동군 + 요동외요(요동군이 바깥을 순찰하는 지역) = 한나라 요동군 + 진고공지 상하장(위만조선) ☞ [출처] 115-1/2[史記列傳(사기열전)] 권115.朝鮮列傳(조선열..

■ 삼한을 포함한 고조선 열국의 위치가 한반도다(?)1) 삼한을 포함한 고조선 열국의 위치가 한반도라는 주장은조선 후기 유학자인 한백겸의 동국지리지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다산 정약용 선생(아방강역고)과, 안정복(동사강목) 등 조선 후기 유학자들이 한백겸의 주장을 지지 하였습니다. 2) 일제 식민사학자들이 한백겸, 정약용, 안정복등의 주장을 이용하여한반도에 삼한을 포함한 고조선 열국이 있었다는 일제 식민사학이 만들어졌습니다 3) 한반도에 삼한을 포함한 고조선 열국이 있었다는 주장으로일제 식민사학의 근간이 된 한백겸의 동국지리지(1615년경 작성)는①삼국지 위서동이전과 후한서 동이열전의 동쪽과 서쪽이 바다로 막혀있다는삼한의 지리적인 주요 특성 하나만을 고려하고,②기자조선과 위만조선(낙랑군)이 북한평양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