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xYUw/btsLEfpmreq/hA48mNor0YPfcJobRg7yhK/img.jpg)
■ 건국과 멸망년도가 다른 임나는 가야가 될 수 없다 1) 임나는 BC 33년 이전에 건국되었고(일본서기 기준), 가야는 AD42년에 건국되었다(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준)※ 주) 일본서기 숭신 65년(B.C.33년) 7월 任那者 去筑紫國, 二千餘里. 北阻海以 在 鷄 林之西南.2) 임나는 AD 646까지 존재했고(일본서기 기준), (금관)가야는 AD 532년에 멸망했다(삼국사기, 삼국유사 기준)※ 주) 일본서기 효덕 대화2년(AD 646년) 2월 15일 高麗·百濟·任那·新羅, 幷遣使, 貢獻調賦.3) 따라서 건국과 멸망년도가 다르니, 임나는 (금관)가야가 될 수 없다※주) AD 600년(추고 8년)에 임나왕이 일본서기에 나온다 추고 8년(AD 6..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nQuy/btsLA5gTlfz/WssUm63lZ9kXXYgKWwyQQ1/img.jpg)
■ 칠지도(七支刀)를 백제 근초고왕이 만들었다는 주장은 사이비역사다( 백제 태자가 칠지도를 만들어 동생인 일왕에게 준 것이 칠지도 명문의 펙트 다)1) 일본서기 신공 52년(AD252)에 "백제가 구저를 통해 칠지도를 보냄" 기사가 있으니 근초고왕(AD 346 ~375년) 시기가 될 수 없다일본서기 신공 52년(AD252)을 이주갑 인상으로 보아근초고왕 시기인 AD 272년을 주장하는 것이 일제 식민사학자들이 만든 식민사학이다2) "칠지도 명문"에 "태O 4년(泰O 4年)" 이니 태시( 泰始) 4년(AD268)이기에 근초고왕(AD 346 ~375년) 시기가 될 수 없다이주갑 인상설에 맞추기 위해"태O 4년(泰O 4年)" 을 太和 4년(AD 369년)의 근초고왕 이 제작했다는 주장은 일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RU6j/btsLgo8YbGr/cW4zrK31u4lKzw2oS96Ark/img.jpg)
■ 압록강 위치는 3번 이동되어 지금의 압록강이 되었다(영정하-> 난하-> 요하-> 압록강)중국 문헌에 나타나는 압록(압록수,압록강)은 영정하->난하->요하->압록강으로 시기별로 4개다 1) 636년(수서 편찬 시점)의 압록수는 영정하고구려가 존재했던 시기로 수서 우문술 열전에 기록된 압록수는 영정하(압록수 북쪽 450리에 살수가 있다) 2) 945년(구당서 편찬시점)의 압록수는 난하고구려 멸망 이후인 고려 초로 구당서 이적열전에 기록된 압록수는 난하(압록수 동쪽 2백리 거리에 평양성) 3) 1250년(남송 추리도 작성 시점)의 압록수는 요하거란 침공 후의 고려 중후기로 남송 추리도에 표현된 압록수는 요하 4) 1461년(대명일통지 작성 시점)의 압록강은 지금의 압록강조선 세조 시기로대명일통지의 압록강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sAf6/btsLayRTD7S/K0EK24l7Mi84aMlLgbzst0/img.jpg)
☞ 장백산(長白山) 위치를 명나라가 이동시켰다(의무려산에서 백두산으로) ■ 장백산의 위치는 금(金)나라 시기(고려 시대)에 요하 서쪽 의무려산이었다 1) 남송 추리도(1250년 경에 작성된 지도)에서 만주지역(요령성 지역)을 보면 장백산長白山)은 대릉하 북쪽에 있는데, 동남으로 흐르는 혼동강(混同江) 남쪽이다. 대릉하(大凌河)는 압록(鴨綠)과 합류하니, 압록(강)은 지금의 요하다 ※주) 제시한 남송 추리도墜理圖 참조 2) 남송 추리도(墜理圖)에서 혼동강은 동남 방향으로 흐르는데 만주 지역(요령성 지역)에서 동남쪽 방향으로 흐르는 강은 요하 지류인 유하(柳河)다 추리도에서 장백산長白山)은 대릉하(大凌河)와 요하 지류인 유하(柳河)사이에 있으니 추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TV2M/btsK20zTaHc/pR9VNpa9OK1KVVPSxQGrzk/img.jpg)
☞ 중국 고대문헌 한원(翰苑)의 "가라" "임나" 는 대마도(쓰시마)다 ■ 5세기 송서, 6세기 남제서, 7세기 양서 왜열전의 임나, 가라는 일본열도에 있었던 가야 분국이다 왜열전에 일본열도 왜 왕의 칭호인 7국(6국) 제군사에 임나, 가라, 백제, 신라등이 포함되어 있기에 왜열전에 나오는 임나, 가라, 백제, 신라는 당연히 일본열도에 있었던 가야, 신라, 백제의 분국이다 ☞ 5세기 편찬된 송서 왜열전 (일본열도 왜왕 명칭) 自稱使持節·都督倭 百濟 新羅 任那 加羅 秦韓 慕韓七國諸軍事·安東大將軍·倭國王. (백제, 신라, 임나, 가라, 진한,모한 등의 7국 제군사 왜국왕) ☞ 6세기 편찬된 남제서 왜열전 (일본열도 왜왕 명칭) 進新除使持節·都督倭 新羅 任那 加羅 秦韓[慕韓]六國..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mv6G/btsKZLKjNuK/jrIpfS9brOfbaGwze3eo7k/img.jpg)
☞ "비문까지 조작한 일본의 역사왜곡" 광개토대왕비문을 둘러싼 신묘년 진실은? ■ 광개토대왕 비문의 신묘년 기사에서가장 신뢰할 수 있는 주장이 서예가 김병기 교수가 주장한 내용으로 보인다 1)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고있는 신묘년 기사 (일제가 조작한 신묘년 기사) 는而倭以辛卯年來 ●渡●海, ●破 百殘OO新羅 以爲臣民.왜(倭)가 바다를 건너 와서, 백제와 OO(가야), 신라를 격파해 신민(臣民)으로 삼았다." ☞ 일본의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광개토대왕비문 내용 )왜(일본)이 391년에 바다를 건너, 백제 (, 가야, 신라)를 격파하고 신민으로 삼았다는 내용과가야를 왜의 식민지인 임나(가라)로 표시된 지도를 소개하고 있다 2) 서예가 김병기 교수는 광개토대방비문의 필체를 분석하여 而倭以辛卯年來 ●入●貢●于,..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54d6/btsKQtD8PSe/7NWgtZvVNpiSMiVJC4B11k/img.jpg)
☞ '일본서기' 인용하면 무조건 식민사관? 따져보니 사실이다 ■ 많은 오류와 윤색, 과장이 있는 일본서기를 기준으로 삼국사기를 해석하거나 일본서기로 우리고대사를 채우는 것은 학문적 주장이 될 수 없다 (1) 년도가 120년 틀리고(이주갑 인상),(2) 백제왕명도 틀리는 등( (초고왕, 귀수왕-> 근초고왕, 근구수왕)의 많은 오류와 윤색, 과장이 있는 일본서기로 우리고대사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것은 대하 역사소설은 될 수 있어도, 역사적 사실은 될 수 없다따라서1) 삼국사기 기준으로 일본서기 내용이 교차검정되면 우리고대사로 이용가능하다2) 삼국사기와 교차검정되지 않으면 일본서기 기사는 일본 열도에서 발생한 사건이고 일본서기 나라 이름은 일본열도에 있었던 나라로 봐야한다3) 교..